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7)
마인크래프트 베드락 에디션 근황 (23.11.01) 그동안 좀 바쁘기도 하고, 그것 때문에 마인크래프트에 대한 열정도 전성기때만큼 샘솟지가 않아, 마인크래프트의 (나름 열심히 했지만) 진척도가 낮아 그 동안 블로그에도 글을 안 쓰고 있었다. 그런데 사실 이번 11월이 서버 개장 1년차이기 때문에 이렇게 다시 글을 쓴다. 사실 또 한 4개월치를 모은 것이기 때문에 분량이 좀 될 것 같기도 하고... 아무튼 사실 앞으로도 꽤 바쁠 예정이라 당분간 진척도는 이 정도에서 머무르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1. 서버 라이젠 5700G로 이전 이건 따로 글이 있으니 자세한 내용은 생략. 이제 좀 오랫동안 써봤는데, 성능 굉장히 좋아서 마인크래프트 렉이 아예 없어졌다. 굉장히 쾌적해서 마음에 든다. 2. 거대한 QR코드를 생성 월드의 맵뷰어 홈페이지로 이동되는 QR코드..
마인크래프트 서버 5700G로 이전 1. 시놀로지 DS920+ 서버의 역사를 읊자면 다음과 같다. 원래 NAS를 시놀로지 DS920+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거기에 docker라는 기능이 있더라. docker가 뭔지에 대한 설명은 안 할 건데, 아무튼 처음 목적은 도커로 transmission (토렌트)를 돌리는 것이었다. 아무튼 그 이후 docker를 파고 들다보니 docker로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굴릴 수 있더라. 그당시 나는 마인크래프트를 안드로이드 모바일 버전(베드락 버전)을 하고 있었고, 그래서 docker의 서버 클라이언트 중 베드락 버전을 받아서 돌렸다. 어떻게 하는지 잘 몰라서 십수시간동안 개고생했으나(권한 관련해서), 결국은 성공해서 스마트폰 LTE로 서버 접속 성공했을 때의 그 쾌감을 아직도 기억한다. 어쨌든 그렇게 며칠동..
마인크래프트 베드락 에디션 근황 (23.07.01) 1. 개구리등 농장 완성 엄청나게 어렵다기보다는 좀 까다로운 느낌의 농장이었다. 우선 올챙이를 잡아야되는데 올챙이는 늪에서만 나오고, 늪은 스폰에서 대략 4000블록 이상 떨어진 곳에 정말 조그마하게 있다. 그다음 올챙이를 각각 더운곳, 미지근한곳, 추운곳에서 개구리로 진화시켜야 한다 그러면 초록색, 하얀색, 갈색 개구리가 된다 (어느 쪽에서 무슨 색이 되는지는 기억 안남) 그다음 그 개구리를 보루 잔해(피글린 요새)의 마그마 큐브 스포너로 데려가야한다. 그다음 마그마 큐브를 가루눈을 이용해 자동으로 죽게 하고 작아진 마그마 큐브를 개구리가 잡아먹으면, 똥으로 개구리등(개구리불, 프로그라이트)을 싼다. 존나 길고 복잡하다. 진짜 개고생했다. 그래도 개구리불 색깔별로 보고 있으니 엄청 이쁘더라. 고생한 보..
마인크래프트 베드락 에디션 근황 (23.06.01) 1. 모든 건축물에 완공 날짜를 팻말로 달았다. 이제 월드가 생긴지 1년이 넘었고 서버가 가동한지도 6개월이 지났기 때문에 슬슬 근본을 챙겨야 할 타이밍이다. 이렇게 팻말을 달아주는 것 만으로도 서버의 근본력이 올라가는 느낌이 드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또한 날짜가 적힌 팻말을 보면 뭔가 더 추억에 잘 빠져들 수 있게 하는 엔트리포인트 역할을 하기도 한다는 장점도 있다. 사실 모든 건축물의 완공날짜가 정확한 것은 아니나, 동생과의 카톡/건축순서 등을 고려하여, 모든 건축물의 완공날짜는 +-1주일 이내의 오차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은 확실시 하였다. (그리고 당연하게도 5월 이후의 모든 건축물은 확실히 날짜가 맞다) 2. 집을 리모델링 했다. 사실상 동굴과 다를 바 없던 집의 내관을 싹다 리모델..
마인크래프트 베드락 에디션 근황 (23.05.01) 1. 레이트레이싱 텍스쳐 팩을 바꿨다. 기존에 레이트레이싱 텍스쳐팩을 Vanilla-RTX을 썼었는데, Defined PBR이라는 것으로 바꿨다. 링크 : https://mcpedl.com/defined-pbr-an-rtx-resource-pack/ 거의 차이가 없지만, 약간 덜 예뻐진것같은 느낌이 든다 (특히 햇빛을 바라보는 상황에서). 하지만 물과 유리에서 왜곡이 덜하고, 그리고 광원이 너무 어두운 문제가 없어졌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주민들 옷과 장신구가 없어져 구분하기 힘들어지는 이상한 RTX버그도 수정되었다. 그래서 굉장히 만족하며 사용하는 중이다. 2. 웹사이트에 맵을 탐방할 수 있는 기능 (월드맵)을 만들었다. 처음에 unmined라는걸 이용해서 위와 같이 2D맵을 만들었다. 솔직히 이런걸..
마인크래프트 베드락 서버에 RTX-레이트레이싱을 적용했다. 완전 바닐라 상태의 베드락 서버로 게임을 시작한지 어언 6개월이 지났다. 설정에 들어갈 때마다 광선 추적 기능이 있는데 안 켜지는 것을 이상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최근에 갑자기 생각이 나서 좀 찾아보니 RTX 그래픽카드와 레이트레이싱을 지원하는 텍스쳐 팩을 껴야 하더라. 그래서 약간의 검색 후 엔비디아에서 제공한 RTX 글로벌 팩을 적용해봤었는데 위 사진과 같다. 레이트레이싱이 확실히 적용되긴 했으나 모든 질감이 플라스틱처럼 바뀌어서 영 이상했다. 그래서 여러 텍스쳐 팩을 찾다가, 결론적으로 괜찮은 텍스쳐 팩을 찾았다. 이름하여 Vanilla-RTX. 링크 : https://mcpedl.com/truly-vanilla-rtx/ 바닐라 마인크래프트 스킨에 레이트레이싱 질감만 입힌 텍스쳐팩이다. 다음 사진들..
마인크래프트 베드락 에디션 근황 (23.04.01) 마인크래프트 베드락 서버를 시놀로지 DS920+의 docker를 이용해 구축해서 혼자 플레이 하고 있었다. 사실 이 때는, 마인크래프트의 시스템을 굉장히 얕게 알고 있었다. 예를 들어, 인챈트(마법 부여)가 있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정확히 어떤 기능들이 있는지는 몰랐고, 다이아몬드가 어디서 나오는지는 알고 있었지만 아까워서 사용 안 하고 있었고, 레드스톤 회로가 있는건 알고 있었지만 조합법이나 작동 원리를 몰라서 사용 안 하는 등, 사실상 석기시대에 머물러 있는 수준이었다. 그러다가 동생 (2살차이 나는 남동생)에게 할 게임이 없으면 같이 마인크래프트나 하자고 했다. 솔직히 나는 안 하거나 대충 할 줄 알았는데 의외로 굉장히 열심히 하더라. 알고 보니 동생은 몇 년 쯤 전에 친구들이랑 같이 멀티 서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