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 썸네일형 리스트형 마인크래프트 베드락 에디션 근황 (23.11.01) 그동안 좀 바쁘기도 하고, 그것 때문에 마인크래프트에 대한 열정도 전성기때만큼 샘솟지가 않아, 마인크래프트의 (나름 열심히 했지만) 진척도가 낮아 그 동안 블로그에도 글을 안 쓰고 있었다. 그런데 사실 이번 11월이 서버 개장 1년차이기 때문에 이렇게 다시 글을 쓴다. 사실 또 한 4개월치를 모은 것이기 때문에 분량이 좀 될 것 같기도 하고... 아무튼 사실 앞으로도 꽤 바쁠 예정이라 당분간 진척도는 이 정도에서 머무르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1. 서버 라이젠 5700G로 이전 이건 따로 글이 있으니 자세한 내용은 생략. 이제 좀 오랫동안 써봤는데, 성능 굉장히 좋아서 마인크래프트 렉이 아예 없어졌다. 굉장히 쾌적해서 마음에 든다. 2. 거대한 QR코드를 생성 월드의 맵뷰어 홈페이지로 이동되는 QR코드.. 마인크래프트 서버 5700G로 이전 1. 시놀로지 DS920+ 서버의 역사를 읊자면 다음과 같다. 원래 NAS를 시놀로지 DS920+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거기에 docker라는 기능이 있더라. docker가 뭔지에 대한 설명은 안 할 건데, 아무튼 처음 목적은 도커로 transmission (토렌트)를 돌리는 것이었다. 아무튼 그 이후 docker를 파고 들다보니 docker로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굴릴 수 있더라. 그당시 나는 마인크래프트를 안드로이드 모바일 버전(베드락 버전)을 하고 있었고, 그래서 docker의 서버 클라이언트 중 베드락 버전을 받아서 돌렸다. 어떻게 하는지 잘 몰라서 십수시간동안 개고생했으나(권한 관련해서), 결국은 성공해서 스마트폰 LTE로 서버 접속 성공했을 때의 그 쾌감을 아직도 기억한다. 어쨌든 그렇게 며칠동.. 마인크래프트 베드락 에디션 근황 (23.07.01) 1. 개구리등 농장 완성 엄청나게 어렵다기보다는 좀 까다로운 느낌의 농장이었다. 우선 올챙이를 잡아야되는데 올챙이는 늪에서만 나오고, 늪은 스폰에서 대략 4000블록 이상 떨어진 곳에 정말 조그마하게 있다. 그다음 올챙이를 각각 더운곳, 미지근한곳, 추운곳에서 개구리로 진화시켜야 한다 그러면 초록색, 하얀색, 갈색 개구리가 된다 (어느 쪽에서 무슨 색이 되는지는 기억 안남) 그다음 그 개구리를 보루 잔해(피글린 요새)의 마그마 큐브 스포너로 데려가야한다. 그다음 마그마 큐브를 가루눈을 이용해 자동으로 죽게 하고 작아진 마그마 큐브를 개구리가 잡아먹으면, 똥으로 개구리등(개구리불, 프로그라이트)을 싼다. 존나 길고 복잡하다. 진짜 개고생했다. 그래도 개구리불 색깔별로 보고 있으니 엄청 이쁘더라. 고생한 보.. 이전 1 2 3 다음